차량을 운행하다보면 부득이하게 도로가에 주정차를 해야 할 때가 있는데 금지된 곳에서 주정차를 하게 되면 아차 하는 사이에 단속이 되어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잡인포에서는 주정차위반 과태료 조회 납부 방법과 주차단속 위반 알림 서비스 이용하는 법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주정차 금지 구역은?
주정차 금지구역은 도로나 공공장소에서 차량을 세우거나 정차하는 것이 법적으로 금지된 구역을 말합니다. 이러한 구역은 보행자의 안전과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지정되는데요.
주정차 금지구역에 차량을 정차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는데 주요 주정차 금지구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전 및 소방시설로부터 5m 이내
- 버스정류소 및 택시승강장 부근 10m 이내
- 도로 모퉁이로부터 5m 이내
- 교차로, 횡단보도, 건널목 부근
- 어린이 보호구역 (특히, 학교와 유치원 주변)
- 중앙선 또는 도로 양측의 황색 실선이 그려진 곳
-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2. 주정차 위반 과태료는?
주정차 위반 과태료는 차량의 종류와 장소에 따라 액수가 다르며 기간 내에 자진 납부를 하면 20% 경감이 됩니다.
하지만 미납을 할 경우에는 60개월 간 매월 5%의 가산금이 추가되니 가급적 빨리 납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일반 도로에서 주정차 위반 시
일반 도로에서 주정차 위반을 한 경우에는 승용차는 4만원, 승합차는 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만약 기간 내 자진 납부 시 20%가 경감되어 승용차는 3만 2천원, 승합차는 4만원이 부과됩니다.
구 분 | 승용차 | 승합차 | ||
과태료 | 자진 납부 시 | 과태료 | 자진 납부 시 | |
일반도로 주정차 위반 | 4만원 | 3만 2천원 | 5만원 | 4만원 |
(2) 5대 불법 주정차 금지구역에서 위반 시
5대 불법 주정차 금지구역에서 위반을 하면 과태료는 더 많아집니다.
소화전 주변 5m 이내에 주정차를 한 경우, 승용차는 8만원, 승합차는 9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자진납부 시 승용차는 6만 4천원, 승합차는 7만 2천원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승용차 12만원, 승합차 13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자진 납부를 하더라도 승용차는 9만 6천원, 승합차는 10만 4천원이나 부과되기 때문에 특히 주의하셔야 하겠습니다.
이 밖에 횡단보도 10m 이내와 교차로 코너 5m 이내, 버스정류장 10m 이내에서는 일반 도로에서의 주정차 위반과 같이 승용차 4만원, 승합차 5만원으로 동일합니다.
구 분 | 승용차 | 승합차 | ||
과태료 | 자진 납부 시 | 과태료 | 자진 납부 시 | |
소화전 주변 5m 이내 | 8만원 | 6만 4천원 | 9만원 | 7만 2천원 |
횡단보도 10m 이내 | 4만원 | 3만 2천원 | 5만원 | 4만원 |
교차로 코너 5m 이내 | 4만원 | 3만 2천원 | 5만원 | 4만원 |
버스정류장 10m 이내 | 4만원 | 3만 2천원 | 5만원 | 4만원 |
어린이 보호구역 | 12만원 | 9만 6천원 | 13만원 | 10만 4천원 |
3. 주정차 위반 과태료 조회 및 납부방법은?
경찰청 교통민원 24
경찰청 교통민원 24 홈페이지(이파인)에서 교통범칙금과 과태료를 조회하고 납부 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는 차량 소유주에게 부과되며, 사전 통지기간 > 1차 과태료 > 2차 과태료 > 압류(차량, 예금, 부동산, 급여) 순으로 진행됩니다.
2차 과태료는 3%의 가산금, 1.2%의 중가산금이 붙으며 최대 75% 까지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경찰청 교통민원 24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인증) → 조회 → 과태료 → 최근 단속내역 → 차량번호 조회 → 미납 과태료 납부하기
4. 불법 주정차위반 미리 알림 서비스
위즈샷 주정차단속 알림시스템을 통해 불법 주정차지역의 차량에 대한 CCTV 단속 내용이 신청자 조회시스템과 연동되어 운전자에게 사전 경고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의 신속한 이동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불법 주정차를 했다고 해서 바로 단속이 되는 것은 아니고 5~10분 가량의 지연 시간을 두고 단속이 되는데요.
이 알림 서비스를 통해 최초로 CCTV(고정식, 이동식)의 단속이 감지되면 바로 알림 메시지를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단속이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지역별로 온라인이나 각 지자체의 읍, 면, 동 주민센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접수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해당 지역별로 불법 주정차위반 알림 서비스 온라인 신청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갤럭시 간편보상 프로그램 활용해 중고폰 보상받는 방법 내 폰은 얼마일까?
지난 14일부터 삼성전자는 중고 갤럭시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보상 받을 수 있는 "갤럭시 간편보상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를통해 삼성 갤럭시 폰을 사용하던 분들은 간편하게 중고폰을
jobinfocube.tistory.com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어디? 온라인부터 오프라인까지 완벽 정리
설날이 다가오면서 전통시장에서의 소비를 장려하기 위한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막상 구매하려고 하면 어디에서 살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구매하
jobinfocube.tistory.com
택시 할증시간 및 요금은 얼마일까?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택시 정리)
택시 할증요금이 적용되는 시간이 다가오면 택시를 타기 위해 서두르게 됩니다. 아무래도 택시 할증이 붙으면 요금도 많이 오르기 때문인데요. 이 글을 통해 서울,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지역
jobinfocube.tistory.com
'정보 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긴급재난문자 끄는 방법과 소리만 끄는 알림 설정 가이드 (0) | 2025.02.10 |
---|---|
2025 설날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언제부터 언제까지 가능할까? (0) | 2025.01.26 |
갤럭시 간편보상 프로그램 활용해 중고폰 보상받는 방법 내 폰은 얼마일까? (0) | 2025.01.16 |
2025년 최저시급 10,030원으로 결정! 월급과 연봉으로 환산하면 얼마가 될까? (0) | 2025.01.14 |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어디? 온라인부터 오프라인까지 완벽 정리 (0) | 2025.01.12 |